2014년 수능 외국어 영역(B형) 24번 정답 및 해설 - 손범식
24.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In order to successfully release himself from the control of his parents, a child must be secure in his parents’ power, as represented by their loving authority. The more effectively they communicate that authority, the more secure the child feels, and the better able he is to move away from them toward a life of his own. During this lengthy process, whenever he feels threatened, he turns back toward the safety of his parents’ love and authority. In other words, it is impossible for a child to successfully release himself unless he knows exactly where his parents stand, both literally and figuratively. That requires, of course, that his parents know where they themselves stand. If they don’'t know where they stand ― if, in other words, they are insecure in their authority ― they cannot communicate security to their child, and he cannot move successfully away from them. Under the circumstances, he will become clingy, or disobedient, or both.
① necessity of parental intervention in ensuring children’s safety.
② roles of parental authority in children’ social skills development.
③ consequences of offering parental supervision for children’s independence.
④ requirements for preventing children from being disobedient to their parents.
⑤ importance of communicating parental authority to children for their independence.
1. 내용풀이
필자는 아이가 부모로부터 떨어져 스스로 자신의 삶의 방향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부모의 사랑과 권위 안에서 안정감을 느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⑤ ‘아이의 독립을 위해 아이에게 부모의 권위를 전달하는 것의 중요성’이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하다. ① 아이들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있어서 부모 개입의 필요성 ② 아이의 사회성 발달에 있어서 부모의 권위의 역할 ③ 아이의 독립을 위해 부모의 관리를 제공하는 것의 결과 ④ 아이가 부모에게 반항하는 것을 막기 위한 필수요건
2. 구문해설
① [In order to successfully release himself from the control of his parents, a child must be secure in his parents’ power, as (being) represented by their loving authority.]
※In order to:~하기 위하여(so as to, with a view to ~ing, for the purpose of, so that~may) ※release A from B:B로부터 A를 해방시키다. ※secure:안전한, 안전하게하다.↔insecure:자신이 없는, 불안정한 ※his parents’ power:부모님의 영향력
※his parents’ power = as (being) represented by their loving authority:부모님의 애정 어린 사랑으로 나타나는 ☞부모의 통제로부터 스스로를 성공리에 해방시키려면 아이는 부모의 애정 어린 권위로 나타나는 부모의 영향력 안에서 안전해야만 한다.
② [The more effectively they communicate that authority, the more secure the child feels, and the better able he is to move away from them toward a life of his own.]
※the 비교급, the 비교급:~하면 할수록 더욱 ~하다. ※that authority:그 권위(that:지시형용사) ※toward a life of his own:자신의 삶을 향해 ☞부모가 그 권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면 할수록 아이는 더욱 안심하며 그 자신의 삶을 향해 부모로부터 좀 더 잘 떠나갈 수 있다.
③ [During this lengthy process, whenever he feels threatened, he turns back toward the safety of his parents’ love and authority.] ※this lengthy process:이 긴 과정 ※whenever:~할때마다(every time)
※feels threatened:위협을 느끼다.(threaten:협박하다, 위협하다.) ※turn back:되돌아 오다. ※toward the safety of his parents’ love and authority:부모님의 사랑과 권위라는 안전한 곳으로 ☞이러한 긴 과정 동안, 위협을 느낄 때마다, 아이는 부모의 사랑과 권위라는 안전한 곳으로 되돌아온다.
④ [In other words, it is impossible for a child to successfully release himself unless he knows exactly where his parents stand, both literally and figuratively. That requires, of course, that his parents know where they themselves stand.] ※In other words:다시 말하면(namely)
※it is impossible for a child to~:아이가 ~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it:가주어, for~:의미상의 주어, to~:진주어)
※unless he knows exactly where his parents stand: 그의 부모님이 정확하게 어디에 (서)있는지 알지 못한다면(간접의문문: 의문사+주어+동사)
※unless:만약~하지 않는다면 ※both A and B: A와 B둘 다 ※literally:문자 그대로 ※ figuratively:비유적으로 ※That requires, of course, that~:물론 그것은 ~을 필요로 한다. ☞다시 말해서, 아이가 말 그대로 또 비유적으로 부모가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한다면 그 아이가 성공리에 스스로를 해방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물론 그것은 그의 부모 스스로도 자신의 위치를 아는 것을 필요로 한다.
⑤ [If they don’'t know where they stand ― if, in other words, they are insecure in their authority ― they cannot communicate security to their child, and he cannot move successfully away from them.]
※If they don’'t know where they stand:만일 그들이(부모)가 자신의 위치를 모른다면. ※in other words:다시 말하면, 즉(namely)
※if (in other words) they are insecure in their authority:(다시 말해서) 그들이 자신의 권위에 대해 불안전 하다면(자신이 없다면) ※communicate:의사소통하다, 전달하다. ☞만일 ‘부모’가 자신의 위치를 모른다면, 다시 말해서 자신의 권위에 대해 자신이 없다면, 그들은 자기 아이에게 안전함을 전달해줄 수 없고 아이는 부모로부터 성공적으로 떠나갈 수 없다.
⑥ [Under the circumstances, he will become clingy, or disobedient, or both.] ※circumstances:상황, 환경 ※clingy:매달리는, 들러붙는→ⓥcling: 달라붙다. 매달리다. ※become(get,grow) + 형용사:~하게 되다. ※become clingy:매달리다. ※disobedient 거역하는, 반항하는 ☞이런 상태에서는, 아이는 (부모에게) 매달리거나 거역하게 되고, 혹은 두 가지 모두를 하게 된다.
3. 단어정리
*release:풀어놓다. 해방하다.*represent:표현하다, 나타내다 *lengthy:긴 *threatened:위협당한(→ⓥthreaten:위협하다.) *literally:말[문자] 그대로 cf)literature:문학, literary:문학의, literate:읽고 쓸수 있는, illiterate:읽고 쓸수 없는, 문맹의 *figuratively:비유[상징]적으로 *secure:안전한, 안전하게하다. *insecure:자신이 없는, 불안정한 *clingy:매달리는, 들러붙는→ⓥcling: 달라붙다. 매달리다. *disobedient 거역하는, 반항하는 *necessity:필요성 *intervention:간섭 * authority:권위, 권위자 *supervision:관리, 감독 *prevent(keep, prohibit, hinder) A from B:A가 B하는 것을 막다.
4. 전문해석
부모의 통제로부터 스스로를 성공리에 해방시키려면 아이는 부모의 애정 어린 권위로 나타나는 부모의 영향력 안에서 안전해야만 한다. 부모가 그 권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면 할수록 아이는 더욱 안심하며 그 자신의 삶을 향해 부모로부터 좀 더 잘 떠나갈 수 있다. 이러한 긴 과정 동안, 위협을 느낄 때마다, 아이는 부모의 사랑과 권위라는 안전한 곳으로 되돌아온다. 다시 말해서, 아이가 말 그대로 또 비유적으로 부모가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한다면 그 아이가 성공리에 스스로를 해방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물론 그것은 그의 부모 스스로도 자신의 위치를 아는 것을 필요로 한다. 만일 ‘부모’가 자신의 위치를 모른다면, 다시 말해서 자신의 권위에 대해 자신이 없다면, 그들은 자기 아이에게 안전함을 전달해줄 수 없고 아이는 부모로부터 성공적으로 떠나갈 수 없다. 이런 상태에서는, 아이는 (부모에게) 매달리거나 거역하게 되고, 혹은 두 가지 모두를 하게 된다.
송곡닷컴(songgok.com) - 손범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