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수능 외국어 영역 21번 정답 및 해설 - 송곡닷컴(songgok.com)
21.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We take it for granted that film directors are in the game of recycling. Adapting novels ①is one of the most respectable of movie projects, while a book that calls itself the novelization of a film is considered barbarous. Being a hybrid art as well as a late one, film has always been in a dialogue with ②other narrative genres. Movies were first seen as an exceptionally potent kind of illusionist theatre, the rectangle of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roscenium of a stage, ③ which appear actors. Starting in the early silent period, plays were regularly “turned into” films. But ④ filming plays did not encourage the evolution of what truly was distinctive about a movie: the intervention of the camera ―its mobility of vision. As a source of plot, character, and dialogue, the novel seemed more ⑤suitable. Many early successes of cinema were adaptations of popular novels. * proscenium: 앞무대
1. 내용풀이
문맥상 the proscenium of a stage를 선행사로 하는 <전치사+관계대명사>의 형태가 되어야 하므로, which가 on which로 바뀌어야 함.
2. 구문해설
① [We take it for granted that film directors are in the game of recycling. Adapting novels ①is one of the most respectable of movie projects, while a book (that calls itself the novelization of a film) is considered barbarous.]
※ take it for granted that~:~을 당연하게 여기다(it:가목적어/that~:진목적어) ※one of the 최상급 +복수명사: ~가장 ~한것중의 하나 ※while: 반면에 ※ a book (that calls itself the novelization of a film) is considered barbarous: that은 주격관계대명사로 a book 을 가리키고 있으며 itself 또한 book을 가리킴. ※the novelization of a film:영화의 소설화
→ 우리는 영화감독들이 재활용 게임을 하고 있다는 것을 당연시한다. 소설을 각색하는 것은 가장 훌륭한 영화 프로젝트들 중 하나인 반면, 영화를 소설화했다고 하는 책은 상스럽게 여겨진다.
② [Being a hybrid art as well as a late one, film has always been in a dialogue with other narrative genres.] ※ Being a hybrid art as well as a late one = As film was a hybrid art as well as a late one(=art). → 후발 예술이면서 동시에 혼합 예술이기도 한 영화는 다른 서사 장르와 항상 대화를 해왔다.
③ [Movies were first seen as an exceptionally potent kind of illusionist theatre, the rectangle of the screen (which is) corresponding to the proscenium of a stage, on which appear actors.]
※ an (exceptionally potent) kind of illusionist theatre: (특별히 유력한) 일종의 마술 공연장 = the rectangle of the screen: 직사각형 모양의 화면 = the proscenium of a stage:앞 무대. ※ on which appear actors: 여기서 which는 주격이 아니며, 전치사 on의 목적어 임에 유의 하세요→ 도치된 문장입니다. 원문장은 on which actors appear → actors appear (on the proscenium of a stage). → 직사각형 모양의 화면이 배우가 출연하는 앞무대와 유사하게 보이면서, 초기에 영화는 특별히 유력한 일종의 마술 공연장으로 보였다.
④ [Starting in the early silent period, plays were regularly “turned into” films. ]
→ 초창기 무성 영화기를 시발점으로 연극은 자주 영화로 ‘전환’되었다.
⑤ [But filming plays did not encourage the evolution of what truly was distinctive about a movie: the intervention of the camera ―its mobility of vision.]
※ what truly was distinctive about a movie(영화에 있어서 정말로 독특했던 점→what은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 the intervention of the camera(카메라의 개입) = its mobility of vision(시각적인 기동성) →하지만 연극을 영화화하는 것은 영화의 진정한 독특함, 즉 카메라의 개입, 다시 말해 그것의 시각적 기동성의 발전을 조장하지 못했다.
⑥ [As a source of plot, character, and dialogue, the novel seemed more suitable. Many early successes of cinema were adaptations of popular novels.] ※plot: 줄거리, 음모, 작은 텃밭 ※seemed more suitable: seem + 형용사: ~하게 보이다 →줄거리, 등장인물, 대화의 공급원으로서 소설이 (연극보다 영화에) 더 적합해 보였다. 영화의 초기 성공작의 다수가 유명 소설을 각색한 것이었다.
3. 단어정리
*take ~ for granted ~을 당연하게 여기다 *recycling 재활용 *adapt 각색[개작]하다, 적응하다 *respectable 존경할 만한 *novelization 소설화 *barbarous 상스러운, 야만적인 *hybrid 혼합, 잡종 *potent 유력한, 강한, 효능 있는 *illusionist 망상, 환각, 환상 * illusionist theatre:마술극장 *correspond to ~와 일치하다 (correspond with:~와 서신을 교환하다) *distinctive 독특한 *evolution 전개, 발전, 진전 *intervention 개입 *mobility 기동력, 유동성 *plot: 줄거리, 음모, 작은 텃밭
4. 전문해석
우리는 영화감독들이 재활용 게임을 하고 있다는 것을 당연시한다. 소설을 각색하는 것은 가장 훌륭한 영화 프로젝트들 중 하나인 반면, 영화를 소설화했다고 하는 책은 상스럽게 여겨진다. 후발 예술이면서 동시에 혼합 예술이기도 한 영화는 다른 서사 장르와 항상 대화를 해왔다. 직사각형 모양의 화면이 배우가 출연하는 앞무대와 유사하게 보이면서, 초기에 영화는 특별히 유력한 일종의 마술 공연장으로 보였다. 초창기 무성 영화기를 시발점으로 연극은 자주 영화로 ‘전환’되었다. 하지만 연극을 영화화하는 것은 영화의 진정한 독특함, 즉 카메라의 개입, 다시 말해 그것의시각적 기동성의 발전을 조장하지 못했다. 줄거리, 등장인물, 대화의 공급원으로서 소설이 (연극보다 영화에) 더 적합해 보였다. 영화의 초기 성공작의 다수가 유명 소설을 각색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