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곡닷컴을 시작페이지로      송곡닷컴을 즐겨찾기에 

| 프로필 | 번역 | 일기 | 편지 | 표현 | 활용 | 기출지 | 2015 | 14(B) | 14(A) | 2013 | 2012 | 2011 | 2010 | 2009 | 실용 | new | 성문 | Q&A | 사진 |

     | 자작시 |







  동시접속자:     031
 
작성일 : 12/11/09
2013학년도 수능 외국어 영역 25번 해설
 글쓴이 : songgok
조회 : 7,725  
   2013-25.hwp (61.5K)

2013년 수능 외국어 영역 25번 정답 및 해설 - 송곡닷컴(songgok.com)
 
25.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In Belding’s ground squirrels, males leave home and females mature in their natal area. This male-biased dispersal creates an imbalance in the way males and females are related to those individuals around them ― females find themselves surrounded by relatives, while males are generally in areas with complete strangers. This asymmetry translates into females who warn close kin by emitting alarm calls, while males generally do not emit calls since their dispersal from their natal areas means their blood kin typically do not benefit from such a warning. Further support for the kinship-based alarm-calling hypothesis includes Sherman’s finding that in the rare instances when females do move away from their natal groups and into groups with far fewer relatives, they                                                   .
 
① end up acquiring the alarm calls of the new group
② make constant attempts to bring their blood kin along
③ display a tendency to become more active and cooperative
④ emit alarm calls less frequently than do native females
⑤ adopt a more elaborate defense mechanism than alarm calls
 
1. 내용풀이
빈칸에는 글의 중반부까지 이어지는 친족에 근거한 경고음 가설(친족과 함께 생활하는 암컷은 경고음을 내지만, 친족과 떨어져 생활하는 수컷은 경고음을 내지 않는다는 가설)을 추가적으로 지지해 주는 내용이 와야 한다. 따라서 친족의 수가 훨씬 더 적은 집단으로 이동한 암컷의 경우, 태어난 곳에 있는 암컷보다 경고음을 훨씬 더 적게 낸다는 내용이 와야 자연스러우므로, ④가 정답이다. →① 결국 새로운 집단의 경고음을 습득한다 ② 자신의 친족을 데려오려고 계속 시도한다 ③ 더 능동적이고 협조적인 성향을 보여준다 ⑤ 경고음보다 더 정교한 방어체계를 채택한다.
 
2. 구문해설
① [In Belding’s ground squirrels, males leave home and females mature in their natal area.] → Belding 얼룩 다람쥐 사이에서, 수컷은 집을 떠나고 암컷은 태어난 곳에서 자란다
 
② [This male-biased dispersal creates an imbalance in the way / (that) males and females are related to those individuals around them ― females find themselves surrounded by relatives, while males are generally in areas with complete strangers.]    ※male-biased dispersal:(직역) 수컷에 치운 친 분산(수컷이 주로 집을 떠나 분산이 이루어지는 표현) ※be related to: ~과 관계를 맺다, 관련되다.
 
→ 이렇게 수컷이 주로 떠나 분산이 이뤄지는 것은 수컷과 암컷이 주위에 있는 개체들과 관계를 맺는 방식에 있어 불균형을 만들어 낸다. 즉, 암컷들은 친족들에 의해 자신이 둘러싸이게 되고, 반면에 수컷들은 일반적으로 완전히 낯선 개체들과 함께 있는 지역에 있게 된다.
 
③ [This asymmetry translates into females / who warn close kin / by emitting alarm calls, / while males generally do not emit calls / since(=because) their dispersal from their natal areas / means (that) their blood kin typically do not benefit from such a warning.]  ※translate 해석하다, 번역하다, 옮기다→ 이 단어를 쓴 이유는 이러한 불균형으로 인해 암컷이 who이하 하도록 바꾸어 버린다는 의미입니다. ※ by ~ing: ~함으로써   ※while: 반면에
 
→ 이러한 불균형은 경고음을 냄으로써 가까운 친족에게 경고하는 암컷들이 되게 하며, 반면 수컷들은 대개 경고음을 내지 않는데 태어난 곳에서 떠나 왔다는 것은 친족들이 그러한 경고로 인해 보통은 혜택을 받지 못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④ [Further support (for the kinship-based alarm-calling hypothesis) / includes Sherman’s finding / that (in the rare instances) when females do move away from their natal groups and (move) into groups with far fewer relatives, they emit alarm calls less frequently than do native females.]
the kinship-based alarm-calling hypothesis:친족에 치우친 경거음 가설 ※in the rare instances: 아주 드문 경우에 ※do move away: do는 강조 ※far fewer relatives:적은수의 친족
 
→친족에 근거한 경고음 가설을 추가적으로 지지해주는 것은 암컷이 태어난 집단에서 훨씬 더 적은 수의 친족을 지닌 집단으로 멀리 이동한 드문 경우에, 그 암컷이 태어난 곳에 있는 암컷보다 더 적은 빈도로 경고음을 낸다는 Sherman의 발견을 포함한다.
 
3. 단어정리
*ground squirrel 얼룩다람쥐 *mature 성장하다, 성숙하다, 성숙한 *natal 출생의 dispersal 분산, 전파, 확산 *bias 한쪽으로 치우치다, 편견 *biased 한쪽으로 치우친*asymmetry[[eisímǝtri] 불균형, 비대칭 *translate 해석하다, 번역하다, 옮기다 *kin 친족, 일가 *emit (소리를) 내다, 발산하다 *kinship 친족 *hypothesis[ [haipάθǝsis]가설 *relative 친족, 친척 *end up ~ing: 결국 ~이 되다 *elaborate defense mechanism:정교한 방어 체계
 
4. 전문해석
Belding 얼룩 다람쥐 사이에서, 수컷은 집을 떠나고 암컷은 태어난 곳에서 자란다. 이렇게 수컷이 주로 떠나 분산이 이뤄지는 것은 수컷과 암컷이 주위에 있는 개체들과 관계를 맺는 방식에 있어 불균형을 만들어 낸다. 즉, 암컷들은 친족들에 의해 자신이 둘러싸이게 되고, 반면에 수컷들은 일반적으로 완전히 낯선 개체들과 함께 있는 지역에 있게 된다. 이러한 불균형은 경고음을 냄으로써 가까운 친족에게 경고하는 암컷들이 되게 하며, 반면 수컷들은 대개 경고음을 내지 않는데 태어난 곳에서 떠나 왔다는 것은 친족들이 그러한 경고로 인해 보통은 혜택을 받지 못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친족에 근거한 경고음 가설을 추가적으로 지지해주는 것은 암컷이 태어난 집단에서 훨씬 더 적은 수의 친족을 지닌 집단으로 멀리 이동한 드문 경우에, 그 암컷이 태어난 곳에 있는 암컷보다 더 적은 빈도로 경고음을 낸다는 Sherman의 발견을 포함한다.
 
송곡닷컴(songgok.com) - 손범식
 
   
 

Copyright ⓒ 1998, songgok.com by Bum-Sik Son. update 201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