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시접속자: 0101 |
|
|
작성일 : 12/11/19
2013학년도 수능 외국어 영역 43번 해설
|
|
 조회 : 5,290
|
2013-43.hwp (61.5K) |
2013년 수능 외국어 영역 43번 정답 및 해설 - 송곡닷컴(songgok.com)
43.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But now rock radio is in seemingly terminal decline and MTV doesn’'t show many music videos anymore.]
Once upon a time, there was only one way to launch a hit album: radio. Nothing else reached as many people, as often. Getting on a radio playlist was difficult, but once a song was in heavy rotation on the radio, it had a high probability of selling. Then, in the 1980s, came MTV, which became the second way to create a hit. ( ① ) It had even more limited capacity for new music, but its influence over a generation was unparalleled. ( ② ) For the music labels, those were good times; it was a brutally competitive business, but it was a business they knew. ( ③ ) They understood the rules, and they could earn their keep by working them. ( ④ ) So how to market music? ( ⑤ ) Labels know the answer lies online, tapping the word-of-mouth forces that are replacing traditional marketing in creating demand, but they’e still trying to figure out exactly how best to do it. * label: 음반사
1. 내용풀이
운전자들은 안전장치가 추가될수록 위기의식을 덜 느끼게 되어 더 많은 모험을 무릅쓰는 경향이 있다는 내용의 글이다. 따라서 (A)에는 contribute to(~의 원인이 되다, ~에 도움이 되다), 그리고 (B)에는 tempts(부추기다, 유혹하다)가 적절함.
2. 구문해설
① [“Why, (in country after country that mandated seat belts,) was it impossible to see the promised reduction / in road accident fatalities?” John Adams, (professor of geography at University College London,) wrote in one of his many essays on risk.]
※the promised reduction: 기대한(만큼의) 감소 ※road accident fatalities:도로위의 사고로 인한 사상자(수) ※fatalities:사망자(수), 참사 cf)casualties 사상자 ※one of his many essays: 그의 많은 글들 중 한곳에 ☞왜 안전벨트를 의무화한 나라들에서 도로상의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가 기대한 만큼 감소하는 것을 보는 것이 불가능한가? 런던대학의 부속 단과대학 지리학교수인 John Adams는 위험에 관한 자신의 많은 글들 중 하나에 (다음과 같이) 썼다.
② [(It appears that) measures (that protect drivers from the consequences of bad driving) encourage bad driving.] = [Measures (that protect drivers from the consequences of bad driving) appear to encourage bad driving] ※단순부정사 ※It appears that = It seems that: ~처럼 보이다, ~인 것 같다. ※주어: measures (수단, 조치), ※동사: encourage(조장하다, 부추기다) ※protect ⓐ from ⓑ: ⓑ로부터 ⓐ를 보호하다 ※the consequences of bad driving: 잘못된 운전의 결과 ☞운전자들을 잘못된 운전의 결과로부터 보호하는 수단들이 바람직하지 않은 운전을 조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③ [The principal effect of seat belt legislation has been a shift (in the burden of risk) from those (who are) (already best) protected in cars, to the most vulnerable, pedestrians and cyclists, outside cars.] ※The principal effect of seat belt legislation:안전벨트 법률제정의 주요 효과 ※in the burden of risk:위험부담에 있어서 ※those (who are) already best protected in cars: 차안에서 이미 가장 잘 보호받는 사람들 ※those who~:~하는 사람들 ※the most vulnerable: 가장 공격받기 쉬운 사람들(가장 취약한 사람들) ※a shift in the burden of risk:위험에 대한 부담에 대한 부담이 옮겨가는 것 ※from ⓐ to ⓑ:ⓐ에서 ⓑ로 ☞안전벨트 법률 제정의 주요 효과는 차량 안에서 이미 가장 잘 보호받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가장 취약한 사람들, 즉, 차 밖에 있는 보행자들과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로 위험에 대한 부담이 옮겨가는 것 이었다
④ [Adams started to group these counterintuitive findings under the concept of risk compensation, the idea that humans have an inborn tolerance for risk.] ※group these counterintuitive findings: 반직관적인 발견들을 정리하다. ※counterintuitive 직관에 반하는(intuit 직관으로 알다, intuition 직관, intuitive 직관적인) ※under the concept of risk compensation:위험 보상이란 개념하에서 ※risk compensation:위험보상 ※the idea that~:that은 idea와 동격을 이루고 있으며, 앞에 나온 위험보상(risk compensation)을 부연 설명하고 있습니다. ※an inborn tolerance:타고난 내성 ☞Adams는 ‘위험보상’, 즉 인간은 위험에 대해 타고난 내성이 있다는 생각에 의거하여 이러한 직관에 반한 연구 결과들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⑤ [As safety features are added to vehicles and roads, drivers feel less vulnerable and tend to take more chances.] ※as: ~함에 따라 ※safety features:안전 장치들 ※feel less vulnerable: 공격을 덜 받을 것이라 느끼다(위기의식을 덜 느끼다) ※tend to take more chances:더 많은 위험(모험)을 하다 ※chance 위험, 모험 ☞두드러진 안전장치들을 차량이나 도로에 추가할수록, 운전자들은 위기의식을 덜 느끼게 되고 더 많은 모험을 하는 경향이 있다.
⑥ [The phenomenon can be observed in all aspects of our daily lives. Children (who wear protective gear during their games) have a tendency to take more physical risks. Hikers take more risks when they think (that) a rescuer can access them easily.] ※can be observed:관찰될 수 있다. ※all aspects of our daily lives:우리 삶의 모든 측면 ※protective gear:보호 장비 ※have a tendency to = tend to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현상은 우리의 일상적인 삶의 모든 면에서 관찰될 수 있다. 게임을 하는 동안 보호 장구를 착용한 어린이들은 더 많은 신체적인 위험을 무릅쓰는 경향이 있다. 도보 여행을 하는 사람들은 구조자가 자신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다고 생각할 때 더 위험을 무릅쓴다.
⑦ [According to John Adams, the phenomenon (that safety measures contribute to careless driving) may be accounted for by the notion that a greater sense of security tempts people to take more risks.] ※contribute to: ~에 기여하다, 공헌하다 ※safety measures:안전장치들 ※may be accounted for:설명될 수 있다.(account for:설명하다, 차지하다) ※a greater sense of security:더 큰 안전감 ※ tempt ~ to: 부추기다, 유혹하다 ※the notion that: that은 the notion과 동격 ☞John Adams에 따르면, 안전장치들이 부주의한 운전에 원인이 되는 현상은 더 큰 안전감이 사람들로 하여금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하도록 부추긴다는 생각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3. 단어정리
*mandate 명령[위임]하다, 명령, 지령 *fatality 사망자(수), 참사 cf)casualties 사상자 *promised 가망 있는, 기대되는 *geography 지리학 *measures 수단, 방책 *legislation 입법, 법률 제정 *shift 변동, 변화, 변천, 바꾸다, 이동하다 → shift from ⓐ to ⓑ :ⓐ에서 ⓑ로의 변동 *vulnerable 상처를 입기 쉬운, 공격 받기 쉬운 *counterintuitive 직관에 반하는(intuit 직관으로 알다, intuition 직관, intuitive 직관적인) *finding 연구 결과, 발견 *compensation 보상, 배상 *phenomenon 현상 *inborn 타고난 *tolerance 내성, 인내력 *protective gear 보호 장비 *safety 안전(장치) *have a tendency to = tend to ~하는 경향이 있다 *chance 위험, 모험 *access 접근하다 (recess 휴식) *account for ~을 설명하다, 나타내다 *notion 관념, 개념
4. 전문해석
왜 안전벨트를 의무화한 나라들에서 도로상의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가 기대한 만큼 감소하는 것을 보는 것이 불가능한가? 런던대학의 부속 단과대학 지리학교수인 John Adams는 위험에 관한 자신의 많은 글들 중 하나에 (다음과 같이) 썼다. “운전자들을 잘못된 운전의 결과로부터 보호하는 수단들이 바람직하지 않은 운전을 조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안전벨트 법률 제정의 주요 효과는 차량 안에서 이미 가장 잘 보호받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가장 취약한 사람들, 즉, 차 밖에 있는 보행자들과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로 위험에 대한 부담이 옮겨가는 것이었다.” Adams는 ‘위험보상’, 즉 인간은 위험에 대해 타고난 내성이 있다는 생각에 의거하여 이러한 직관에 반한 연구 결과들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두드러진 안전장치들을 차량이나 도로에 추가할수록, 운전자들은 위기의식을 덜 느끼게 되고 더 많은 모험을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현상은 우리의 일상적인 삶의 모든 면에서 관찰될 수 있다. 게임을 하는 동안 보호 장구를 착용한 어린이들은 더 많은 신체적인 위험을 무릅쓰는 경향이 있다. 도보 여행을 하는 사람들은 구조자가 자신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다고 생각할 때 더 위험을 무릅쓴다.
↓
John Adams에 따르면, 안전장치들이 부주의한 운전에 원인이 되는 현상은 더 큰 안전감이 사람들로 하여금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하도록 부추긴다는 생각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