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수능 외국어 영역 28번 정답 및 해설 - 송곡닷컴(songgok.com)
28.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Journeys are the midwives of thought. Few places are more conducive to internal conversations than a moving plane, ship, or train. There is an almost peculiar correlation between what is in front of our eyes and the thoughts we are able to have in our heads: large thoughts at times requiring large views, new thoughts new places. Introspective reflections which are liable to stall are helped along by the flow of the landscape. The mind when thinking is all it is supposed to do. The task can be as paralyzing as having to tell a joke or mimic an accent on demand. Thinking improves when parts of the mind are given other tasks, are charged with listening to music or following a line of trees.
① may be reluctant to think properly
② may focus better on future thoughts
③ can become confused by multitasking
④ is likely to be paralyzed by fear of new tasks
⑤ can be distracted from what is before the eyes
1. 내용풀이
단지 사고만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올바로 생각하는 것이 쉽지 않지만, 여행을 할 때는 인간의 사고가 향상된다는 내용의 글이다. 따라서 빈칸에는 사고만을 해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올바로 생각하는 것을 꺼릴 지도 모른다.’가 가장 적절함. ② 미래의 사고에 더 잘 초점을 맞출지도 모른다, ③ 다중 작업으로 인해 혼란스러워질 수 있다, ④ 새로운 일에 대한 두려움으로 마비되기 쉽다, ⑤ 눈앞에 있는 것으로부터 산만해질 수 있다
2. 구문해설
[Journeys are the midwives of thought] → 여행은 생각의 산파이다(여행을 통해서 생각이 발전된다) * 위 첫 지문을 통해 글의 흐름이 어느 방향으로 흘러갈지 파악이 되시나요^^
[Few places are more conducive to internal conversations than a moving plane, ship, or train] * be conducive to ~에 도움이 되다(ex: Exercise is conducive to health. 운동은 건강을 돕는다)
→ 움직이는 비행기, 배 혹은 기차 보다 내면적인 대화(internal conversations)에 더 도움이 되는(conducive to) 장소는 거의 없다.
[There is an almost peculiar correlation between what is in front of our eyes and the thoughts we are able to have in our heads: large thoughts at times requiring large views, new thoughts new places]
*peculiar correlation: 특별한 상관관계 *between Ⓐ and Ⓐ: Ⓐ와 Ⓑ사이 *what is in front of our eyes: 우리 눈앞에 보이는(있는) 것 *the thoughts (which) we are able to have in our heads: 우리가 머릿속에서 생각할(가질) 수 있는 사고 *large thoughts at times (which are) requiring large views, new thoughts (which are requiring) new places : 여기서 requiring은 형용사적으로 쓰이며 앞의 large thoughts 와 new thoughts를 각각 수식하고 있네요( =large thoughts at times require large views and new thoughts require new places)
→우리 눈앞에 있는 것과 우리가 머릿속에서 생각할 수 있는 사고 사이에는 대개 특이한 상관관계가 있다. 그것은 때때로 넓은 시각을 요구하는 넓은 사고, 새로운 장소를 요구하는 새로운 사고이다.
[Introspective reflections / (which are liable to stall) / are helped along / by the flow of the landscape]
→(미루기 쉬운) 자아 성찰적 반성(Introspective reflections)은 풍경의 흐름(by the flow of the landscape)에 따라 촉진 된다(are helped along)
[The mind may be reluctant to think properly when thinking is all / it is supposed to do] *be reluctant to think properly: 올바로 생각하는 것을 꺼리다 *be supposed to = be expected to: ~해야 한다(should), ~하기로 되어있다. it = the mind
→사고가 해야 할 일의 전부일 때 (인간의) 정신은 올바로 생각하는 것을 꺼릴 지도 모른다.
[The task can be as paralyzing ashaving to tell a joke or mimic an accent on demand] *paralyzing: 무력한, 마비된 ← paralyze *as paralyzing as:~만큼 무력한 *tell과 mimic은 병렬관계
→그 일은 농담을 해야 하거나 혹은 요구대로 말씨를 따라해야 하는 것처럼 무력하게 할 수도 있다.((스스로는 원치도 않는데 남이 요구한다고 해서 농담을 하거나 남의 말투를 그대로 따라 한다면 매우 부자연스럽겠지요? 그 말을 하고 있네요)
[Thinking improves / when parts of the mind are given other tasks, (or) are charged with listening to music or following a line of trees]
* are given과 are charged(주어지고 채워지다) *listening 과 following은 병렬관계
→정신의 일부(parts of the mind)에게 다른 일이 주어지거나 그것이 음악을 듣거나 가로수를 따라 걷는 일로 가득 채워질 때 사고는 향상 된다
3. 단어정리
*midwife 조산사, 산파 *conducive to ~에 도움이 되는(ex: Exercise is conducive to health. 운동은 건강을 돕는다) *internal 내면적인 *peculiar 특유한, 이상한, 특별한 correlation 상관관계 *introspective 자기 성찰적인, 내성적인 *reflection 반성, 숙고 *be liable to ~하기 쉽다(be apt to = be likely to) *stall 지연하다, 미루다, 마구간 *help along(forward) (사람을) 도와서 나아가게 하다, (일을) 촉진시키다 *reluctant 꺼리는, 마지 못해 하는(unwilling) *paralyze 무력[무능]하게 하다, 마비 상태로 만들다, 마비시키다 * paralyzing 마비된, 무력한 *on demand 요구에 따라서 *mimic 흉내 내다(imitate) *be charged with ~로 가득 차 있다, ~에 책임을 맡다 *be reluctant to = be unwilling to ~을 꺼려하다 *multitasking 다중작업 *a line of trees 가로수
4. 전문해석
여행은 생각의 산파(産婆)이다. 움직이는 비행기, 배 혹은 기차 보다 내면적인 대화에 더 도움이 되는 장소는 거의 없다. 우리 눈앞에 있는 것과 우리가 머릿속에서 생각할 수 있는 사고 사이에는 대개 특이한 상관관계가 있다. 그것은 때때로 넓은 시각을 요구하는 넓은 사고, 새로운 장소를 요구하는 새로운 사고이다. 미루기 쉬운 자아 성찰적 반성은 풍경의 흐름에 따라 촉진된다. 사고가 해야 할 일의 전부일 때 (인간의) 정신은 올바로 생각하는 것을 꺼릴 지도 모른다. 그 일은 농담을 해야 하거나 혹은 요구대로 말씨를 따라해야 하는 것처럼 무력하게 할 수도 있다. 정신의 일부에게 다른 일이 주어지거나 그것이 음악을 듣거나 가로수를 따라 걷는 일로 가득 채워질 때 사고는 향상된다.